Task design
앞서 두 종류의 성장이라는 글에서 도메인과 스킬에 대해 이야기 해보았다. 스킬 이야기 중 첫 번째로, 아주 간단하고도 강력한 스킬인 task design
에 대해 논해보려고 한다.
Task design
이란, 말 그대로 업무를 디자인하는 것이다.
업무 디자인이 무슨 소리지? 업무가 무슨 인테리어도 아니고.. 라고 생각 할 수 있는데, 업무 디자인은 생산성을 높이기 위해 매우 중요한 스킬이다.
Task design
여기 신입사원 누렁이가 있다고 해보자. 리더가 NAS
를 A
서버에 설치하라고 했다. 그렇다면 누렁이는 이 업무를 어떻게 정의 할까?
아마, NAS를 A서버에 설치
라고 정의 할 것이다.
사실 대부분의 신입사원들은 이렇게 업무 정의를 마칠 것이다. 하지만 조금만 더 나아간다면, 왜 NAS를 A 서버에 설치
하라고 했지?라고 의문을 품게 될 것이다. 여기서 나오게 되는 개념이 task design의 핵심 요소인 WHY
이다.
누렁이는 리더에게 업무의 이유를 물어봤다. 그러자 리더가 말한다. 응~ 모델러들끼리 중복되는 데이터가 많아서 공유 좀 되게 할라고~
라고 이유를 답한다.
그렇다면 다시 생각해보자, 모델러끼리 데이터 공유하게 하는 방법은 A서버에 NAS를 설치하는게 최선인가?
여기서 WHAT
을 생각해 내야 한다. 여기서 WHAT
은 모델러 간 데이터를 공유하게 하는 시스템 혹은 비슷한 무언가
이다. (시스템이라고 특정 짓지 않고 무언가라고 한 이유는, 뒤에서 설명하겠다.)
정리하자면,
WHY
: 모델러들간 중복되는 데이터가 많다
WHAT
: 데이터 공유 시스템 등의 무언가
HOW
: A서버에 NAS 설치
가 된다.
보통 상명하복의 조직에서는 리더가 WHY
와 WHAT
등을 디자인하고 부하직원에게 HOW
를 던지게 된다. 말 그대로 던진다. 그래서 왜 하는지 이유를 물으면 까라면 그냥 까
라고 대답하는 경우도 있다.
물론 부하에게 공유를 못하는 합당한 이유가 있는 경우도 더러 있지만, 그냥 공유가 번거롭거나 하기 싫어서 등 답답한 경우도 많다. 하지만, 그래도 업무를 수행하는 사람은 되도록 WHY
와 WHAT
을 생각하려 해야 한다.
앞서, WHAT
에서 왜 시스템 혹은 비슷한 무언가
라고 에둘러서 표현했는지 설명하겠다고 했다. 자, 다시 위의 WHY
, WHAT
, HOW
를 봐보자. 뭔가 이상하지 않은가? 구체적으로, 뭔가 빠져 있지 않은가? 사실 지금 위의 디자인에선, WHY
조차도 불분명하다.
저기에는 지금 ROOT CAUSE
가 빠져있다. 모델러들간 중복되는 데이터가 왜 많을까? 이 모든 문제가 어디서 시작되었고, 왜 저것이 원인으로 지목 되었을까?
이 문제는 알고보면 모델러들끼리의 의사소통 부족으로 발생한 문제 일 수도 있다. 알고보면, 모델러들끼리 의사소통을 해서 데이터 관리 정책을 만들어, 아주 쉽게 문제를 해결 할 수도 있는 것이다.
위의 예제를 다시 정리하면,
WHY(w/ ROOT CAUSE)
: 모델러들간 소통 부재로 중복 데이터가 많이 발생함
WHAT
: 데이터 공유 시스템 등의 무언가
HOW
: A서버에 NAS 설치
와 같이 적을 수 있을 것이다. 이게 바로 내가 말하는 task design
스킬이다. 단순히 리더가 시키는데로 업무를 수행하는 것이 아닌, 아니 단순히 업무를 수행하더라도 위와 같이 생각을 하며 진행을 해야 한다. 그래야 “효율적”으로 일을 할 수가 있다.
어쩌면 리더가 A서버에 NAS 설치하라고 누렁이 말고 다른 신입사원에게도 동시에 업무를 지시했을 수 있다.
누렁이는 이유를 따지고 묻고 다른 신입사원은 하루 밤새 NAS 를 설치했다고 치자
이때 리더는 다른 신입사원에게 일을 더 잘한다고 칭찬 할 수도 있다. 그럴때, 아, 이유 묻지 말고 저렇게 바로바로 해야 칭찬 받는 구나
라고 생각하면, 당장 그 리더 밑에선 일을 잘 한다고 칭찬을 많이 들을 순 있지만, 내 스스로의 성장은 많이 막힐 수 있다.
사실 보다 큰 문제는, 이러한 사람들이 경력을 쌓고 높은 위치에 올라갔을때, WHAT
은 커녕 WHY
나 ROOT CAUSE
를 인지조차 못해 파악조차 하지 않으려고 하는 경우가 있다는 것이다. 그렇게 되면 일은 어마어마하게 많이 하는데 산출물이나 결과물은 나오지 않고 허탕만 칠 수가 있다.
마치며
요즘 난 스스로 코딩을 하는 개발자에서, 문제를 해결하는 엔지니어가 되자
. 라고 되뇌이고 있다. 그래서 그런지 예전에는 문제를 푸는 주요 방법이 코딩이었는데, 이제는 의사소통이라고 생각한다.
문송합니다라
는 말은 문과가 하는 일은 누구나 할 수 있어서 취업시장에서 안 좋은 포지션에 있는 것을 표현하는 말이기도 하다. 내 생각엔 이과, 공대도 마찬가지가 될 것이다. 왜냐면 문과도 첨부터 저러진 않았거든.
요즘은 코파일럿이 코딩도 해주고 ChatGPT가 검색도 대신 해주고, 내 할일도 대신 정해 준다. 이런 세상에서는 도메인 지식’만’을 쌓으려고 해선 안된다. 문제 파악 능력 및 업무 디자인 등의 스킬을 기르는 것이 나의 경쟁력이고, 더 많은 생산성을 추구하는 방법이라 생각한다.
댓글남기기